건축물의 대형화·고층화·복합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화재시 인명안전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연기의
제어를 위한 제연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화재안전기준
NFSC501A에서 제시하고
있는 피난계단의 연기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건축물에서의 안전한 피난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1) 부속실과 옥내간 과압 발생
• 부속실의 출입문이 모두 닫혀 있는 경우 부속실의 압력이 옥내보다 설계기준 이상으로 높게 형성됨.
• 피난을 위해 계단실로 대피하는 과정에서 부속실의 출입문을 열 수 없음.
2) 부속실의 압력하강 발생
• 부속실의 출입문이 열리면 출입문을 통해 방연풍속 이상의 풍량이 빠져나가면서 아래층에 위치한 부속실에서는 압력의 하강이 발생함.
• 부속실의 압력이 옥내보다 설계기준 이하로 낮게 형성되어 옥내의 연기가 부속실로 침투할 수 있음.
1) 기능과 역할에서 서로 독립적인
누설량과 보충량을 각기 다른
유로로 분리하여 급기함.
2) 이중날개 형식의 지능형
급기댐퍼를 사용하여 출입문이
닫힌 부속실은 누설량만 공급하고,
출입문이 열린 부속실은 보충량만
공급하도록 함.
3) 화재안전기준 NFSC501A에서
규정하고 있는 부속실과 옥내간
차압형성 기준을 효과적으로 만족시켜서
화재시 피난계단으로의 연기침투를
방지하고 재실자의 원할한 피난을
유도함.